대기공간
하루에 서비스를 제공할 고객 수를 예상했다면(이렇게 해야 함) 주어진 시간에 대기하게 될 평균 고객 수와 이 숫자의 범위 및 가변성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서비스 시간과 하루에 입장하는 고객 수를 알고 있다면 대기 시간과 대기 고객 수를 결정하는 수학 공식이 존재합니다. 아내와 어머니가 식사하는 동안 대기실을 사용할 수 있는 남성과 어린이 등 비고객의 수를 고려하려면 이러한 공식을 넘어서야 합니다. 이 정보를 사용하여 매장에 충분한 대기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거나 창의적인 방법을 시도해보세요. 예를 들어, 쇼핑몰에 있는 경우 고객이 서비스를 받을 시간이 되면 고객에게 전화를 걸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충분한 대기 공간을 확보하는 것 외에도 대기 공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고려하십시오. 어린이를 위한 것이라면 장난감과 게임을 위한 놀이 공간이나 바닥 공간이 있어야 합니까? 기다리는 시간이 길다면 TV나 기타 오락 시설이 있어야 합니까? 이 공간에서 의자와 고객, 커피 테이블이나 테이블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을까요?
직원 및 고객 흐름
고객과 직원이 서로 부딪치거나 방해가 되지 않는 공간을 디자인했는지 알아보려면 각 서비스에 관련된 작업과 이러한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 합니다.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현재 평면도와 직원 및 고객이 하루 동안 있을 영역 간 이동을 스케치합니다. 가능한 한 많은 용량을 확보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용량에 따라 작동할 때 어떤 일이 발생할지 고려하십시오. 이렇게 직원과 고객의 흐름을 고려하고 나면 레이아웃을 다시 디자인해야 한다는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도 있습니다. 재설계를 통해 작업 영역 간 이동 시간을 줄이고 사람들이 서로 마주칠 가능성을 줄여야 합니다.